2025년 현재 기준으로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연 3.5~4.2% 수준까지 상승했습니다. 이는 지난 5년간 가장 높은 수준으로, 예·적금의 매력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. 단순히 돈을 맡기는 것이 아닌,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
1. 금리 비교는 필수, 온라인 전용 상품도 눈여겨보자
국민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의 금리는 비슷해 보이지만, 세부 조건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. 특히 인터넷/모바일 전용 예금은 지점 방문 없이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예: A은행 일반 정기예금 3.8% vs 모바일 전용 4.2%
2. 예금은 단기 분산, 적금은 목적형으로 활용
예금은 목돈을 맡기는 수단이므로 만기를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. 예를 들어, 3개월·6개월·12개월 상품에 분산 예치하면 금리 인상 시점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. 반면 적금은 매월 일정 금액을 불입하는 구조로, 특정 목적(예: 여행, 자격증 준비, 결혼 자금 등)에 맞춰 기간과 금액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3. 복리보다 단리? 조건 꼼꼼히 따져보자
예·적금 상품은 단리 방식이 일반적이지만, 일부 상품은 복리 혜택을 제공합니다. 특히 자유적금 상품 중 일부는 이자를 매월 원금에 포함시켜 계산하는 방식으로, 장기적으로 보면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 다만 중도해지 시 이자 손해가 발생하므로 계약 기간 준수가 중요합니다.
4. 비과세 종합저축, 65세 이상 또는 장애인이라면 필수
2025년에도 비과세 종합저축 상품은 유지되고 있으며,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사람(65세 이상, 장애인, 국가유공자 등)은 이자 소득세(15.4%)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. 해당 조건에 해당된다면 꼭 활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