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 집 마련을 위한 첫 걸음, 바로 청약입니다. 하지만 경쟁률이 높아지는 만큼, 당첨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청약 가점제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청약 가점 계산 방법</strong과 가점표 해석</strong, 실전 예시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1. 청약 가점제란?
청약 가점제는 무주택 기간, 부양 가족 수, 청약통장 가입 기간 등을 종합해 총 84점 만점으로 산정된 점수에 따라 당첨자를 선정하는 제도입니다.
국민주택(전용 85㎡ 이하) 또는 민영주택 일부 지역의 1순위 청약에서 적용됩니다.
2. 청약 가점 구성 항목
총 84점은 다음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.
- 무주택 기간: 최대 32점
- 부양가족 수: 최대 35점
- 청약통장 가입 기간: 최대 17점
3. 항목별 점수 계산 방법
① 무주택 기간 (최대 32점)
- 1년 미만: 2점
- 1년마다 2점씩 추가 → 최대 16년 이상 = 32점
- 부부 중 1명만 무주택이어도 ‘무주택 아님’으로 간주
② 부양가족 수 (최대 35점)
- 0명: 5점
- 1명당 5점씩 증가
- 6명 이상: 35점
- 부양가족 기준: 주민등록상 세대원 + 직계존속(60세 이상 부모 등)
③ 청약통장 가입 기간 (최대 17점)
- 1년 이상: 1점
- 1년마다 1점씩 증가 → 15년 이상 = 17점
4. 2025 청약 가점표 예시
아래는 대표적인 가점 계산 예시입니다.
항목 | 내용 | 점수 |
---|---|---|
무주택 기간 | 12년 | 24점 |
부양가족 | 배우자 + 자녀 2명 | 20점 |
청약통장 | 9년 | 9점 |
총점 | 53점 |
TIP: 수도권 인기 지역 당첨권은 보통 60점 이상, 비인기 지역은 40점대에서도 당첨 가능합니다.
5. 가점 확인 사이트 & 도구
- 📍 LH 청약센터: apply.lh.or.kr
- 📍 내 집 마련 가점 계산기: myhome.go.kr
- 📍 민간 계산기 앱: 뱅크샐러드, 청약가점계산기 앱 등 활용